제사부일체(학생과 교사와 부모는 하나) – 정순신 아동학대 사건
‘학생’, ‘교사’, ‘부모’가 모두 무책임하고 비윤리적이며 더럽게 비춰질 수 있을까.
PD수첩의 내용과 청문회 내용을 보니 정말 이가 떨리는 것 같았습니다.
이들의 이런 모습이 ‘특별한 사건’이 아닌 ‘보편적인 일상’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가슴이 답답했다.
연일 뉴스와 기사에서 ‘정순신 변호사 아들’, ‘서울대 입학’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정치인 자녀를 둘러싼 문제로 인해 뉴스에 나오는 이야기는 더 이상 누구의 눈도 귀도 들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특별한 것이 남아 있지 않다는 강한 느낌이 있었을 것입니다.
정치인의 자녀가 사고를 당하거나 부모의 보호 아래 피를 흘리지 않고 재산 계급에 들어간 사례는 과거에 누적되었습니다.
ㅡ 래퍼 아들을 둔 젊은 정치인
ㅡ 딸을 의사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통해 엑스맨이 된 정치인
대부분의 사람들이 혀를 내밀고 있는 상황에서도 뻔뻔함으로 무장한 나는 그들에게 졌을 것이다.
관심도 없었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정치인의 자식들이 부모의 얼굴을 욕되게 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의 서민으로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그 사건에 너무 무관심하고 무지했습니다.
※ 저는 비정치적인 사람이고 돈을 벌고 싶은 사람 외에는 “정치”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제가 보고 있던 PD수첩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정직한 법조인 정순신 변호사가 학대 혐의로 기소된 아들의 억울함을 풀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는 검사로서의 모든 경력과 지위, 머릿속에 있는 법률 지식을 총동원해 법정 사건에 응한다.
재판 과정에서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피를 말리는 고통이 쌓여갔을 것이다.
고통스러운 시간을 견뎌낸 피해자는 “결국 가해자가 이긴다”고 느꼈다고 한다.
그 어떤 부분보다 그 말이 더 가슴이 아팠다.
훗날 서울대에서 철학을 전공한 가해자 정순신의 아들 정윤성과는 달리 피해자들의 삶은 왜곡됐다.
군 복무 중인 아들을 대신해 ‘또 다른’ 아버지가 등장한다.
마지막 문장… 절박하고 설득력이 있다.
끈기와 열정이 있는 사람은 아들을 위해 시간과 공간의 흔적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강남 8구 명문고의 교장이 되기까지 얼마나 힘들게 살았을지 생각해보면,
청문회에서 답변하는 교장의 이미지.
가족들이 보면 안타까울 텐데, 보는 사람들이 보기엔 안타까웠다.
“적법한 절차에 따라 절차를 진행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지 않느냐”는 태도와 말과 행동.
본인의 주도가 아닌 자문위의 만장일치 결정 결과라는 점에서 책임회피
대중의 원망과 궁금증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 교육자의 태도.
당시 상황을 보고 어쩔 수 없다는 동급생의 편지
한 사람의 자기 반성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내년 3월 이 사건을 얼마나 기억할 것인가?
그리고 결과는 어땠어 (해결)
그동안 비슷한 일이 얼마나 많이 일어날까요?
내가 관심.
* 원칙에 따라 문제해결과 행정관리에 노력하는 민고 교직원들에게 격려와 박수를 보냅니다.